전교조의 미래 전공노의 현실

전공노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은
전교조-전국교직원노동조합 이랑 똑같은 전철을 밟았던
대표적 공무원노동조합입니다.

 똑같이 법적으로 공무원해직자 소송에서 패한 자를 조합원으로 감싸다가
 결국 교섭단체의지위를 잃어버리고 비합법화 노조가 되었습니다.

전교조는 그과정을 밟고있구요...전공노의 대법판례까지 잇는지라....불법노조는 확정적입니다.

이정공노가 얼마전에는 교섭단체의지위 상실로인해서 마지막 사무실을 폐쇄당하고
안에서조차 기존의 투쟁 방식을 답습하지않겠다며 새로운 노조가 만들어지고 있다고합니다.

 전교조야 진보교육감들이 방패막이를 한다고해도...
교육부 중앙정부의사업은 거부한채 지신업적을 위해
 교육질보다 급식이라며 강성팔이 시전하던 진보교육감들이...
 돈없다고 중앙정부에 돈내놔 하던게 엊그제같은데.... 
 비합법 노조지위를 누릴수 없는 단체를 지원한다면....누가 상식적으로 이해하겟습니까만은...
==========================================================================================

행정자치부는 지난달 24일 전국 지자체에 공문을 발송해 "전공노에 제공된 사무실을 10월 8일까지 폐쇄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지난 8월 20일 서울고법이 전공노의 노조 설립 신청을 반려한 정부의 결정에 손을 들어주는 판결을 내린 것을 계기로 이뤄졌다.

전공노 안산시지부 사무실을 끝으로 폐쇄 대상이 된 전공노 사무실 27개가 모두 폐쇄됐다. 이밖에 실질적으로 전공노 활동을 하고 있는 사무실은 80여곳이 더 있으나, 합법 노조 지위를 갖고 있는 ‘전국민주공무원노조(민공노)’ 소속으로 신고돼 있어 폐쇄 대상에서 제외됐다.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5061716292413712&MVP

18일 행정자치부와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전공노를 탈퇴한 이충재 위원장은 독자적인 합법노조 출범을 위해 지난 16일 고용노동부에 노조설립 신고서(가칭 통합공무원노조)를 제출한 상태다. 행자부 관계자는

 “고용노동부가 법적요건을 검토한 후 이번 주 안으로 설립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표면적으로는 공무원연금 개혁안 합의에 대한 이견으로 물러나게 됐지만 조직 내부에서 많은 갈등과 내홍이 있었다”
 “법외노조로서 장외투쟁을 하면서 여러 정파 간 헤게모니 다툼에 많은 조합원들이 피로감을 느끼고 있었다”
 “새롭게 시작하는 통합공무원노조는 합법노조로서 정파 중심이 아닌 조합원을 중심으로 한 정책노조로 거듭날 것”

. 지난 15일 전공노 창원시지부는 전공노 200여개 지부 가운데 처음으로 전공노를 전격 탈퇴했다.
5개 구청 등에서 실시된 탈퇴 찬반투표에서 전체 조합원 3494명 중 3084명이 투표에 참여해 2716명 88.3%가 탈퇴를 찬성했다.
 한 조합원에 따르면 “민주노총을 상급단체로 하는 투쟁방식이 상당수 조합원의 뜻과 맞지 않는 데다
많은 조합원들이 지금과 같은 강경투쟁, 선봉노조 식의 노동운동에 근본적인 회의감을 느끼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통합공무원노조 측은 서울, 경기, 전남 광양, 경남 부산지부 등에서 합류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최소 2~3만 명의 조합원이 새 노조로 편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61716292413712&outlink=1

덧글

  • 난쓰레기 2015/11/03 20:53 # 답글

    일단 글은 삭제하고 다시 올렸습니다..

    정말 멀리있지 않지요. 이유는 말하지 않겠습니다. 어찌되었든 저런 노조들이 계속 증가하면 할수록 그것에 휘말리지 않아야 될 사람들이 휘말리게 됩니다. 그들에 대한 반감은 또 그들에 대한 반감으로 또 휘말릴 것입니다. 이념이던 계파던간에 저는 이것이 너무나도 우려스럽습니다.

    우리나라에선 이념화라던지 계파화가 깊어진다는건 곧 타락의 길로 빠지겠다는 이야기와 똑같습니다. 특히 휘말리지 않아야될 집단들이 그렇게 간다는건 더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자면 종교인들이 대표적입니다.
  • NET진보 2015/11/03 22:07 #

    뭐 자신의 근무환경을 위한 단체로써는 뭐 나브다고는 할수가 없는데..민주노총에 묶이게되면.. 아시다시피... 지역단위에 관련이 없는 각 분과나.... 연대도해야하고... .... 먼산....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