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8152136085&code=940401
학교법인 상지학원은 지난 14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제228회 이사회를 열고 이사 8명 중 7명이 참석한 가운데 만장일치로 김씨를 총장으로 선임했다고 15일 밝혔다. 상지학원 관계자는 “이사들이 지방대학의 어려운 현실을 감안해 투자를 통해 대학을 발전시킬 수 있는 김문기 전 이사장을 추대 형식으로 총장에 선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다음주 중 교육부에 김문기씨의 이사 취임 승인 신청을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문기씨는 1993년 문민정부 시절 ‘사학비리 1호’로 교육계에서 퇴출됐던 인물이다. 구속 다음해인 1994년 대법원이 1년6월의 실형을 선고해 상지대 이사장에서 해임됐다. 당시 상지대는 김씨 일가가 요직을 차지하고 재산 축적 수단으로 활용됐다는 비난을 받았다. 재단 전입금이 1990년엔 3000원에 불과했고 1992년엔 전혀 없었다. 이처럼 사학비리로 교육계에 많은 파문을 일으켰던 김씨 일가가 21년 만에 상지대 운영권을 다시 쥐게 되자 학내 분규가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상지대 총학생회는 이날 성명을 내 “(상지대가) 교원이 제대로 충원되지 않고,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되는 등 정상적인 학교 운영이 어렵게 된 것은 상지학원 이사들에게 책임이 있다”며 “사학비리 전과자인 김문기의 총장 선임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윤명식 총학생회장은 “학생들과 협의해 대통령, 국회의장, 여야 대표에게 탄원서를 보내는 한편 총장실 점거와 교육부 항의방문도 불사할 것”이라며 “수업거부와 동맹휴학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학개혁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인 정대화 상지대 교수는 “대부분의 (사학)비리재단이 이명박 정권 때 사학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다시 들어왔고, 박근혜 정권에서도 같은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며 “교육부가 김문기씨의 이사 취임 승인 신청을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결국 이번 정권의 사학에 대한 관점을 가늠할 수 있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이사람말고 다른 학교이사장할 사람이 그렇게없나 씨팔
학교법인 상지학원은 지난 14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제228회 이사회를 열고 이사 8명 중 7명이 참석한 가운데 만장일치로 김씨를 총장으로 선임했다고 15일 밝혔다. 상지학원 관계자는 “이사들이 지방대학의 어려운 현실을 감안해 투자를 통해 대학을 발전시킬 수 있는 김문기 전 이사장을 추대 형식으로 총장에 선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다음주 중 교육부에 김문기씨의 이사 취임 승인 신청을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문기씨는 1993년 문민정부 시절 ‘사학비리 1호’로 교육계에서 퇴출됐던 인물이다. 구속 다음해인 1994년 대법원이 1년6월의 실형을 선고해 상지대 이사장에서 해임됐다. 당시 상지대는 김씨 일가가 요직을 차지하고 재산 축적 수단으로 활용됐다는 비난을 받았다. 재단 전입금이 1990년엔 3000원에 불과했고 1992년엔 전혀 없었다. 이처럼 사학비리로 교육계에 많은 파문을 일으켰던 김씨 일가가 21년 만에 상지대 운영권을 다시 쥐게 되자 학내 분규가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상지대 총학생회는 이날 성명을 내 “(상지대가) 교원이 제대로 충원되지 않고,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되는 등 정상적인 학교 운영이 어렵게 된 것은 상지학원 이사들에게 책임이 있다”며 “사학비리 전과자인 김문기의 총장 선임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윤명식 총학생회장은 “학생들과 협의해 대통령, 국회의장, 여야 대표에게 탄원서를 보내는 한편 총장실 점거와 교육부 항의방문도 불사할 것”이라며 “수업거부와 동맹휴학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학개혁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인 정대화 상지대 교수는 “대부분의 (사학)비리재단이 이명박 정권 때 사학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다시 들어왔고, 박근혜 정권에서도 같은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며 “교육부가 김문기씨의 이사 취임 승인 신청을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결국 이번 정권의 사학에 대한 관점을 가늠할 수 있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이사람말고 다른 학교이사장할 사람이 그렇게없나 씨팔
덧글
그런데 정대화 교수의 주장은 곧이 곧데로 수긍할 수가 없네요. 상지대가 당시에 워낙 큰 이슈가 되긴 했지만 사학 비리로 쫒겨났다 재단 관계자가 복귀한 경우는 다른 대학에서도 많이 있었던 일인데 마치 정권의 문제인 양 얘기를 하니 말이죠.
사학도 엄연히 개인, 법인의 사유 재산이 존재하는 곳인데 국가가 일방적으로 접수가 가능할 리 없을거고 비리 재단 관계자들에 대한 적절한 처벌이 있은 후에는 돌려줄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대신에 관리, 감독, 감사를 잘 해야 겠지요
더구나 상지대의 경우는 오히려 특이한 경우죠... 관선이사 체제로 그렇게 까지 오래 유지되어왔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