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7009327&sid1=001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지난해 12월 파업과 관련해 노조원 99명을 해고한 데 이어 이달 초 50명을 추가로 해고했다.
이번 추가 해고는 지난 2월 25일 경고파업 등이 이유이다. 같은 이유로 148명도 해고 외 중징계를 받았다.
이로써 노조가 철도 민영화 정책에 반대해 벌인 지난해 12월 파업 이후 해고자는 모두 149명으로 늘었다.
전국철도노조는 "철도공사가 1인 승무, 화물열차 검수 이관, 강제 전출 등 철도 안전을 위협하는 잘못된 정책 중단을 요구하고, 2013년 임금협약 체결을 위해 지난 2월 25일 경고파업을 했다는 이유로 또 해고 등 중징계를 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특히 공사가 최근 교섭 과정에서 조합원 징계와 연계하며 개악한 단체협약을 수용하도록 노조를 압박하다가 교섭이 중단되자마자 대규모 보복성 징계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철도공사는 지난해 파업과 관련해 노조를 상대로 162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와 116억원 가압류에 이어 추가 손해배상과 가압류도 진행할 예정이다.
--------------------------------------------------------------------------------------------------------
사측의징계 해고가 부당한지 아닌지 또 법적 대응을 할테니 기다려야겠지만.... 결국엔 신규채용율이 올라갈듯하네요 ㅇㅇ;;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지난해 12월 파업과 관련해 노조원 99명을 해고한 데 이어 이달 초 50명을 추가로 해고했다.
이번 추가 해고는 지난 2월 25일 경고파업 등이 이유이다. 같은 이유로 148명도 해고 외 중징계를 받았다.
이로써 노조가 철도 민영화 정책에 반대해 벌인 지난해 12월 파업 이후 해고자는 모두 149명으로 늘었다.
전국철도노조는 "철도공사가 1인 승무, 화물열차 검수 이관, 강제 전출 등 철도 안전을 위협하는 잘못된 정책 중단을 요구하고, 2013년 임금협약 체결을 위해 지난 2월 25일 경고파업을 했다는 이유로 또 해고 등 중징계를 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특히 공사가 최근 교섭 과정에서 조합원 징계와 연계하며 개악한 단체협약을 수용하도록 노조를 압박하다가 교섭이 중단되자마자 대규모 보복성 징계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철도공사는 지난해 파업과 관련해 노조를 상대로 162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와 116억원 가압류에 이어 추가 손해배상과 가압류도 진행할 예정이다.
--------------------------------------------------------------------------------------------------------
사측의징계 해고가 부당한지 아닌지 또 법적 대응을 할테니 기다려야겠지만.... 결국엔 신규채용율이 올라갈듯하네요 ㅇㅇ;;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