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총련은 결국.... 종북애들의 과도한 퍼주기사업과 일본경제/ 북한의추락으로 횔령등을 일삼다가... 운지하게된거군요.
조총련은 대한민국 법원이 지정한 반국가 단체이기도합니다.
일본내에서는 뭐 북한의 자금세탁의혹이나 과 일본납치 등에 관여했고 북한의 우상화 /사상 교육같은 비정상적인 교육활동으로 논란이되서 조총련계학교는 일본정부의지원이 중단되었죠.
그렇기에 국적만 조선국적이라면 솔직 모르겟지만 / 조총련 가입자나 조총련 학교출신이라면 실질적으로 사상적으로 한번 걸러야한다봅니다. 예전에 논쟁이된 정대세 선수만해도 그렇고 권리세같은 경우도 그래서 논란이 된적 있죠.
https://www.dailynk.com/korean/read.php?num=79375&cataId=nk00500
조총련의 대내외 사업은 북한 조선노동당의 내부적인 지령을 통해 진행됐다. 북한의 조선노동당의 지도를 받으면서 조총련은 비공개조직 및 각 산하단체를 사상적으로 관리하는 등 치밀한 조직사업을 진행해왔다.
조총련은 북한의 대남, 해외 공작을 총괄하는 통일전선부의 지도를 받아 오다가 1997년부터 대외연락부의 지도를 받고 있다. 당시 통전부장이였던 강관주가 대외연락부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조총련의 관할 업무도 대외연락부로 이관됐다.
강 부장은 1997년, 1998년 두차례 조총련 업무 지도차 일본을 방문했다. 대외연락부는 간첩 교육 및 남파, 남한 내 지하당 구축 등 대남공작 주요부서다. 조총련은 내부적으로 북한 공작부서의 지도를 받으면서 일본내 동포들을 볼모로 대남공작 활동을 조직적으로 펼쳤다.
실제로 지난 7월 북한 노동당이 대외연락부를 통해 조총련 중앙본부에 총선 승리가 예상되는 일본 민주당에 대한 ‘공략 지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민주당에 만경봉호 입항 금지 해제를 요청토록 했다는 소식을 산케이(産經)신문이 보도한 바 있다.
◆‘학습조’, 北 노동당 일본지부나 다름없어
북한이 조총련에 이러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이유는 ‘학습조’라는 비밀 조직관리 체계가 있기 때문이다.
학습조는 1958년 김일성에 대한 충성과 조국통일을 위한 ‘혁명투사집단양성’을 목적으로 조총련 산하에 결성된 비밀 조직이다. 2000년 초반까지 조총련 중앙본부와 지방본부, 산하단체, 사업체 등에 약 1천여 개 학습조가 활동했던 것으로 일본의 공안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학습조는 조총련 조직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비밀 조직체로서 ▲조총련의 조직 강화 ▲ 동포들의 이탈방지 ▲대북송금 ▲일본 및 한국에 대한 정치공작 등의 역할을 해왔다.
북한은 학습조를 확충하는 것이 조직강화의 지름길이라는 인식 아래 중앙·지방본부 단위로 강습회를 수시 개최, 학습조원들에게 김정일의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는 정예요원임을 주지시켜 자긍심을 갖도록 했다.
특히 20-30대 조직원들과 상공인에 대해 학습조 참여활동을 적극 독려했다.
조총련 간부출신 재일동포들에 따르면 조총련은 조선노동당의 강령을 실현하는 조직과 다름 없다. 내부에 조선노동당의 일본지부와 같은 중핵조직이 만들어졌는데 그것이 바로 학습조라고 설명한다.
학습조는 조총련 내 비공식적 조직으로서 중앙의 ‘학습조지도위원회’를 정점으로 각현본부, 지부와 산하단체와 사업체의 각 기관단위에 3명이상 10명 이내로 세분화되어 있고 상하수직적 관계로 관리된다.
학습조원이면 가족에게도 학습조원이라는 것을 결코 말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학습조원의 수는 중앙의 학습조지도위원회 이외에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나 일본 언론에서는 전임활동가나 산하단체, 사업체직원의 30%내외라고 추정하고 있다.
최근에는 조총련의 세력약화로 학습조가 상당히 쇠퇴했을 것으로 보이나 조총련이 북한의 이중대 역할을 하면서도 조직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학습조가 계속해서 가동되고 있기 때문이다.
2002년 일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김정일의 지시로 학습조를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2005년 학습조가 재개되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005년 산케이 신문은 학습조는 한 때 회원이 5천명에 달했으나, 현재는 2천명 정도에 그치고 있다고 일본 공안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바 있다.
주된 임무는 ▲재일대한민국민단 조직의 와해 ▲대남적화공작 수행 ▲위장평화공세에 의한 통일전선 수행 ▲동북아지역의 북한정부 연락선 구축(잠수함 기지구축) ▲북한의 무기구입과 밀매 직간접적 지원 ▲비합법적 또는 합법적 기업을 운영하면서 자금확보 등의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은 조총련 간부들과 상공인들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나 이들에 대한 직접적 지도는 학습조 내 간부가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언론에 의하면, 북한에 대한 불법 수출에 학습조가 주도적으로 관여한 혐의를 포착하고 일본 공안당국이 조사를 벌인 적이 있다. 2003년 산케이(産經) 신문은 일본 ‘세이신기업’이 미사일 추진 연료완성에 필요한 제트 관련 부품을 북한의 인민무력부에 판매한 사례가 있다.
또한 학습조 소속 조총련 간부들은 대북송금을 광범위하게 벌여왔다. 학습조 소속 간부들은 북한 노동당에 충성을 맹세하는 재일 조선인계의 신용조합에 강한 영향력 행사해 비합법적인 자금을 축적해왔다. 현재는 조총련계 금융기관이 쇠퇴해 그 규모가 대폭 줄었으나 과거 수억 에서 수십억 엔씩 해마다 북으로 송금됐다.
1999년 4월 나고야 지방법원에서 조총련계 무역상사인 ‘동명상사’ 박일호 사장이 아이치(愛知) 조은 신용조합을 상대로 불법 횡령된 자신의 예금 약 17억 5천만 엔을 반환해달라는 청구 재판에서 아이치 신용조합 경영에 학습조가 깊숙히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판결문에는 “피고(조은 아이치)의 간부는 전부 학습조원에서 등용되었다. 조은 아이치는 금융기관으로서 본래의 업무 이외에 조총련의 활동자금이나 북한에 돈을 보내는 특수임무를 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재판에서 박 사장은 “나의 예금이 대북송금이나 한국의 유학생 조직, 일본내 친북계 국회의원의 정치자금에 쓰였다”고 폭로했다
이와 함께1999년 일본 자민당 내 외교부 회의에서 공안관계자는 학습조에 대해 “전국에 약 1000개 조직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전(前) 일본 공안조사청 조사 제2부장 스가누마 고코(管沼光弘)씨는 2001년 11월 15일자 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그동안 은밀히 제3세계에 무기를 수출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이라는 돈세탁 장소가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2002년 3월 일본 중의원 안전보장위원회에서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중의원도 조은이 파산된 이후 개편, 통폐합된 새로운 신용조합 이사장들이 학습조 소속이라고 밝혔다.
당시 마에하라 의원은 “조총련은 간판일뿐 실제로 조총련을 운영하는 것은 학습조다. 하나신용조합의 새로운 이사장도 학습조 소속의 간부이며, 미래신용조합도 같은 학습조의 간부다. 뿐만 아니라 효고히마와리신용조합의 이사장이 된 사람도 상공회의 학습조 소속”이라고 밝혔다.
조총련 소속이였던 재일동포들에 의하면, 조총련계 신용조합협회는 조선노동당의 조직인 학습조가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인사권이 사실상 북한의 수중에 장악된 것이나 다름없다고 한다.
이는 조선노동당의 조직이 일본내에 존재하며, 그것이 신용조합을 통괄하고 있다는 것은 명확한 불법으로 간주된다. 김정일의 지시로 학습조가 2002년 폐지됐다가 2005년 부활된 것도 대북 송금을 위한 자금 조달과 조직강화, 대일 공작을 강화하려는 목적인 것으로 일본 공안당국은 보고 있다.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num=78730&cataId=nk00500
조총련 헌금 강요로 교포들의 원성 높아져
조총련이 오랫동안 애국사업을 심혈을 기울여 추진해왔다. 애국사업은 조총련이 벌인 북한에 대한 경제지원활동을 말한다. 사실 애국이라는 명목으로 실시됐지만 반강제적으로 교포들의 돈을 갈취하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대표적으로 북한을 지원하기 위한 헌금과 모금, 물자 보내기 운동 등이 있다.
또한 애국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조총련계 동포들의 이탈방지 및 조직확대운동도 일어났다. 그러나 애국사업이 반강제적으로 진행되면서 애국사업은 교포들의 더 큰 원성에 직면하게 됐다.
조총련은 3년마다 열리는 전체대회 등을 통해 애국사업을 전체 조직 과업으로 제시하고 애국사업을 가열차게 진행 할 것을 계속 독려해 왔다. 조총련은 충성헌금·선물을 조총련계 상공인과 동포들로부터 각출하기 위해 각 조직별로 경쟁적인 충성헌금운동을 벌이는가 하면 말단 조직인 분회조직을 통해서 조총련 계열 동포의 가정을 일일이 방문해 강제모금하기도 했다.
조총련의 애국사업은 1980년대 이후 다양해져 헌금뿐 아니라 공장·플랜트에서 생활관련 물품까지 다양한 물자를 지원했다. 이와 함께 선물헌납운동에서는 조총련계 상공인들의 투자유치와 생산시설 기탁에서부터 김일성·김정일의 개인적 사치를 충족시키기 위한 고급승용차·최신전자제품·귀금속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조총련의 애국사업으로 1994년까지 매년 6∼8억 달러를 북한에 송금해 북한의 주요 외화획득 수단이였다. 그러나 일본의 경제 불황으로 인해 조총련계 기업과 업소들의 경영부실이 나타나면서 조총련계 금융기관들이 파산하기 시작했다. 애국사업도 급격히 축소됐다.
이러한 조총련의 반 강제적인 헌금 각출 운동 등으로 교포들의 원성이 높아져 조직 이탈이 발생하고 무엇보다 북한의 현실이 알려지면서 애국사업의 명분이 사라졌다. 현재 애국사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조총련은 일본정부의 전방위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에 그동안 애국사업 명목으로 해온 헌금과 물자 보내기 운동은 중단된 상태다.
“北과 합영사업, 강제적 헌금과 다름 없어”
애국사업이 조총련 동포들을 주축으로 진행된 사업이라면 ‘합영사업’은 북한이 조총련계 기업을 대상으로 벌인 사업이다. 합영사업에 대해 김일성은 ‘애국심의 발로’라며 기업들의 적극적인 사업 가담을 추동했다.
이 기업들은 북한의 비경제적 접근과 불황 등과 겹쳐 큰 실패를 겪고 만다. 합영사업의 실패를 통해 조총련계 상공인들은 북한과의 사업을 꺼리게 되고 이는 조총련의 권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국 조국과 야심차게 사업을 벌이지만 북한의 시장경제 몰이해와 투자환경의 미비로 하나 둘씩 실패하는 조총련계 기업들을 보면서 상공인들은 북한의 경제적 환경에 대해 깨닫게 됐다.
1980년대 이후 김일성은 북한의 경제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외국기업을 북한에 유치하려는 ‘합영법’을 제정하고 ‘합영사업’을 벌인다. 그러나 폐쇄된 북한 사회에 투자를 꺼려 사업이 저조하자 북한은 조총련계 기업들을 유치하는 사업을 적극 벌이게 된다.
그러나80년대 중반 조총련의 주요 활동으로 꼽히는 합영사업도 북한의 인프라 미비, 에너지 공급 불안정, 계약 불이행 등으로 실패하기에 이른다. 특히 북한당국의 지나친 간섭과 시장경제에 대한 몰이해로 인해 조총련계 기업은 손해만 보고 만다.
특히 90년대 접어들면서 북핵문제로 인해 한반도가 긴장되면서 조총련계 기업들의 대북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된 부분도 합영사업 실패를 부추겼다.
북한의 합영법이 제정된 1984년부터 1995년까지 설립된 조총련계열의 대북 합영기업체수는 131개였으나, 최근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기업은 조선합영은행, 모란봉합영회사, 김만유병원 등 10개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합영사업에 참여해 실패한 경험이 있는 재일교포 김선우(가명)씨는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합영사업이 경제적 원리가 우선되는 것이 아니라 북한에 대한 애국과 충성심만을 자극하여 사업을 벌인 것이 문제”라면서 “초기에는 성과를 보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북한의 과도한 간섭과 악화되는 북한의 경제 사정 등으로 사업이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김 씨는 특히 “당시 조총련계 상공인들 사이에서는 경제적 이익보다는 북한 내 가족, 친척들의 지위향상 등을 고려한 부분이 있어 투자라기 보다는 일종의 애국사업, 즉 강제적 ‘헌금’처럼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다”고 덧붙였다.(계속)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0500&num=78457
.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자금난에 빠지게 된다. 당시 북한의 경제가 파탄지경에 이르면서 북한은 조총련에게 자금지원을 요청했으나 일본 경제에 불황으로 대북 송금이 여의치 않았다. 조선신용조합은 주된 수입원이던 토지거래의 실패와 빠징고 사업의 불황으로 재정적인 어려움이 발생했다. 이러한 재정적인 어려움에도 조총련은 계속해서 대북송금을 실시해 재정난을 더욱 악화시켰다.
결국 일본의 불황과 무리한 대북송금으로 조은은 파산하기에 이른다. 조은은 전성기 때는 일본 전국에 38개의 지점을 보유했다. 그러나 방만한 경영과 더불어 일본의 버블경제 붕괴 및 장기적 경기 침체로 1990년대 말부터 각지에서 합병 및 파산을 거듭했다.
2000년 초 18개 신용조합 중 15개 신용조합이 파산했고, 다시 이 중 9개 신용조합의 사업 양도가 결정됐다. 현재는 조선신용조합은 해산했고 조은 계열 은행들은 통폐합되어 현존하는 조합은 이오신용조합 등 3개이며, 새롭게 설립된 효고히마와리신용조합를 포함해 4개가 존재한다.
이와 함께 조총련의 자금난으로 조총련 반세기 역사의 상징인 중앙본부 회관이 강제매각위기에 처해있다. 조은이 부채 627억엔을 변제하지 못하고 결국 파산함에 따라 이 조합의 채권을 인수한 일본 정리회수기구(RCC)가 도쿄 조총련 중앙본부의 건물과 토지 경매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해당 건물과 토지는 조총련과는 별도의 합자회사 명의로 되어 있어 정리회수기구는 이와 관련 소송을 준비중이다.
조총련의 재정난으로 민족학교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을 줄이거나 중단하면서 각 조선학교는 통폐합을 서두르고 있다. 2005년 세타가야에 있던 '도쿄 제8 초급 학교'가 압류를 피하기 위해 매각되기도 했다.
조선대학교도 43억엔의 부채를 해결하지 못해 곤경에 빠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기부금을 통한 자금조달도 어려워지고, 교원들의 수당 등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http://www.rfa.org/korean/news/pro_nk_group_charge_530m_debt-20051122.html
최고 전성기에 38개에 달했던 조총련계 신용조합은 잇따른 경영 부실에 따라 16개가 파산하고 합병 등으로 통폐합돼 현재 7개만이 존속해 있습니다. 일 정리회수기구는 파산한 16개 신용조합의 부실 채권 약 2천억 엔을 인수하고 채권의 회수 작업을 벌여왔습니다.
정리회수기구는 부실 채권 약 2천억 엔 중 약 400건, 약 628억 엔이 사실상 조총련에 대한 대출금이었다고 단정하고 조총련을 상대로 대출금 반환 소송을 제기하기에 이른 것입니다. 정리회수기구는 파산한 조총련계 신용조합과 관계자에 대해 부정 융자나 부정한 회계 조작 등의 혐의로 18건을 제소한 상태입니다.
한덕수 의장은 돈의 용도를 “북한의 컬러텔레비전 생산에 필요한 자금”이라고 설명하면서 “6년 후에 조총련이 책임을 지고 차입금을 반환하겠다”고 약속했다고 합니다. 이 약속을 믿은 조은 교토 신용조합의 이사장은 친지 6명으로부터 한 사람당 각각 1억 엔씩, 모두 6억 엔을 모아 조총련 측에 전달했습니다. 그러나 약속한 날짜가 지나도 조총련이 차입금을 반환할 낌새를 보이지 않자 상공인 측이 소송을 제기해 2억 엔을 반환하라는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산케이 신문은 “조총련이 이때 예탁금 증서를 발행해 차입한 돈의 액수는 60억 엔 이상”이라고 지적하면서 “최종 판결문에도 이런 내용이 수록돼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조총련은 문제가 커지자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작년 말 재정국장을 경질했습니다. ‘코리아 국제연구소’의 박두진 소장은 “재정국장이 경질됐음에도 손해를 입은 조총련계 상공인들은 돈을 돌려받을 때까지 허종만 책임 부의장에 대한 책임을 끝까지 추궁하겠다는 자세”라고 말했습니다.
잘 알려진 대로 조총련은 2007년6월 일본의 정리회수기구가 제기한 627억엔 반환 소송에서 패소해 10층짜리 조총련 중앙본부의 건물과 토지가 경매에 부쳐져 제삼자의 손으로 넘어갈 운명에 처해 있습니다. 조총련은 또 100년 만에 불어닥친 경제 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직원들에 대한 급여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할 정도로 극도의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 단적인 예가 65세 이상의 퇴직 직원에 지급해 왔던 월 3만 5천 엔에 달하는 연금 지급을 작년 7월부터 중지한 일입니다. 이 조치로 간부 직원은 물론 조직원의 충성심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고 합니다.
http://m.nk.chosun.com/articleView.html?idxno=152739&menu=1
북한의 자금줄로 통했던 조총련이 본부 건물조차 유지하지 못할 지경이 된 것은 '북한에 퍼주기' 때문이다. 1990년대 북한에서 기근이 발생했을 때 조총련이 집중적으로 송금한 것이 부실을 초래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1990년대에 38개에 달하던 조총련계 신용조합은 2000년 전후로 16개가 파산하고 19개가 합병됐다. 당시 일본 정부 정리회수기구(RCC)는 공적자금을 1조엔 이상 투입했다. RCC는 부실 채권을 조사한 결과, 628억엔(약 6824억원)이 사실상 조총련에 대출됐다고 보고 2007년 조총련 건물을 경매 신청했다.
조총련은 한국의 경제 발전, 북한의 왕조식 세습, 일본인 납치 사건 등이 겹치며 몰락했다. 1955년 창립된 조총련은 한때 회원이 43만명에 이르렀지만 현재는 7만명 선으로 줄어들었다. 민단 관계자는 "북한이 일본인 납치를 공식 인정하고 한일월드컵 공동 개최로 한국 국적 취득 붐이 불면서 2003년에는 1만명 정도가 '조총련의 상징'인 조선적(朝鮮籍)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북한에 3대 세습정권까지 등장하자 요즘도 매달 100여명의 조총련이 한국 국적을 취득하고 있다. 게다가 조선적을 가진 사람은 해외여행에 제한을 받는다.
조총련 핵심 간부 육성과 체제 선전의 핵심 역할을 했던 조선학교도 어렵기는 마찬가지이다. 조선학교 학생 수는 한때 4만명이었지만 최근 6000여명으로 줄었다는 것이 재일교포 사회의 분석이다. 일본인 납치 문제로 조선학교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도 끊기고 있다. 일부 조선학교는 김일성 부자의 사진을 교실에서 떼고 교과과정을 개편하는 조건으로 오사카부(府) 등 지방자치단체에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지만 거부당했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0324_0012808056&cID=10102&pID=10100
2차 경매에서 가장 많은 50억1000만엔을 써낸 몽골법인에 낙찰됐으나, 도쿄지법은 이 법인이 원본이 아닌 사본을 제출했다며 증빙서류 미비의 이유로 지난해 12월 매각 불허를 결정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01&aid=0006846635
앞서 북일 정부간 협상의 북한 측 수석대표인 송일호 북일국교정상화교섭 담당대사도 지난 1일 협상을 마치고 귀국 직전 베이징(北京) 서우두(首都)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총련회관 문제는 실무적으로 볼 문제가 아니라 조일관계 진전 속에서의 기초적인 문제"라며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이 없으면 조일관계 진전 자체가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본 도쿄지방법원은 지난달 24일 2차 경매 차점자인 일본 다카마쓰(高松) 소재 부동산 투자회사 마루나카 홀딩스에 조선총련 중앙본부 건물과 토지를 매각하는 안을 허가했으며, 마루나카 홀딩스 측이 조선총련에 재임대할 생각이 없다고 밝힘에 따라 그동안 사실상의 주일 북한대사관 역할을 해온 중앙본부 건물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공산이 커졌다.
덧글
초등학교때라지만....뭐 적어도 문제되는 발언을 한적은 없죠.
근데 정대세는 북한주민 고통 인권에 관심없다라는 말도하고.... 북한정권 김정일 부자를 찬양고무한적있습니다,
http://www.dailyjn.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85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이후, 영국방송에서 제작된 것으로 파악되는 25분짜리 동영상 21분 40초 부분에서, 사회자의 "우리가 탈북한 북한 주민을 만나봤는데, 북한 주민의 고통스러운 경험(hard experince)에 대해 서로 대화를 하고 이해를 해볼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했다.
"나는 관심이 없다.
모든 사람의 생각은 다르기 때문이다.
누군가에 맞지 않는 일도 당신에겐 맞을 수 있다.
나는 북한 주민의 이야기를 억지로 들을 생각 없다.
모든 사람은 각자의 경험이 있고,
나는 북한 주민의 문제에 개입할 어떤 필요성도 느끼지 못한다"
"I' m not very interested.
because every person has a different interpretation.
and it might not have fitted that person, but it might fit you.
I don't need to force myself to hear the stories
because everyone has their own experiences.
I don't think there's any need for me to get involved in that.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5/31/2013053103007.html?news_Head1
정대세가 트위터에 글을 올리자 상당수 네티즌들은 일베 회원들을 비난했다. 그러자 일베에는 과거 정대세가 김정일을 찬양했던 영상이 올라왔다. 정대세는 한 영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김정일을 존경한다(I respect Kim Jong-il absolutely.)”고 일본어로 이야기했다. 그는 “김정일이 무슨 행동을 하든 다 따를 것”이라고도 말했다. 해당 장면은 동영상 4분 49초에 나온다.
이런 말을한적도있죠.
정대세 선수가 바른말 하고 싶어도 하면 진짜 비참한 꼴 볼수 있어서라는 것도 생각해보시죠.
정대세는 게다가 한국국적자라면서요...조총련계 출신이라고하지만 발언은 더더욱 이해불가인케이스입니다.
북송된 가족이 인질로 잡힌 것이나 마찬가지니, 돈을 보내줄 수밖에요.
그런데 지금은 그때의 사람들이 노인이 됬으니, 더 이상 삥 뜯기도 어렵겠죠.
뭐.; 본문에 검증할 주장의 종류와 검증방식 검증에 실패한 사람에 대해 걸리는 제약이 뭔지 명시되지 않으니 사상검증으로 뭘 의도한지 명확하지 않긴 하네요. 가령 '쟤들 사상검증 안 되어 있으니 나는 쟤들 싫어할꺼야'정도라면 문제 없겠죠 -ㅅ-
뭐 권리세같이 발언에 문제없는경우는 모르겠는데.... 정대세는 문제잇는 발언 한전력잇죠.
같잖은 이익조차도 포기못해서 양심팔아먹는 인간이 멀쩡히 이나라에서 돈벌이하는 꼴을 용납하는 한국이란 나라가 정말 한심합니다.
최소한의 상식도 없이 정치적인 주관으로 돌아가는 병신국가.....